2. 자료구조 및 데이터 통신

1. 자료구조 #

1-1. 자료 #

1-2. 선형 및 비선형 구조 #

1-3. 정렬 및 탐색 #

1-4. 파일 조직 기법 #

1-5. 데이터베이스 #


2. 데이터 통신 #

2-1. 데이터 전송 및 제어방식 #

전송 신호 :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 통신 방법

  • 아날로그 : 연속적인 값
  • 디지털 : 이산적인 값

전송 신호 용어

  • 주파수(Hz) : 단위시간 동안 신호의 파형이 반복되는 횟수
  • 대역폭(Hz) : 최고 주파수와 최저 주파수 사이 간격

전송 속도 : 단위시간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

  • 신호속도(bps) : 1초 동안 전송한 데이터의 비트 수를 나타내는 단위
  • 변조속도(baud) : 1초 동안 변조 횟수를 나타내는 단위

신호와 변조속도의 관계 \[ 신호속도(bps) = 변조속도(baud) * 단위 신호당 비트 수 \]

통신 용량 : 샤논의 정의를 통해 계산 \[ C = W*log_2(1+ S/N) \]

  • C : 통신 용량(bps)
  • W : 대역폭(Hz)
  • S : 신호 전력
  • N : 잡은 전력

아날로그 데이터 전송방식 #

아날로그 -> 아날로그 변환

  • 아날로그 데이터를 먼 거리까지 효율적으로 전송하거나 주파수 분할 다중화를 해해 위해 변조
  • 방식
    • AM(진폭 변조) : 주파수 일정 / 변조 파형에 따라 진폭 변조
    • FM(주파수 변조) : 진폭 일정 / 변조 파형에 따라 주파수 변조 (소요 주파수 대역 = 2 * (변조 주파수 + 최대주파수변이))
    • PM(위상 변조) : 변조 파형에 따라 위상을 변조

디지털 -> 아날로그 변환

  • Broadband 변조 방식이라고도 함
  • 방식
    • ASK(진폭 변이 변조) : 진폭은 변함 / 주파수와 위상은 변하지 않음
    • FSK(주파수 변이 변조) : 진폭은 일정 / 변조 파형에 따라 주파수 변조
    • PSK(위상 변이 변조) : 위상이 1 or 0에 따라 변조
    • QAM(직교 변이 변조)

디지털 데이터 전송방식 #

아날로그 -> 디지털 변환 #

2-2. 네트워크 및 프로토콜 #